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
네이버에서 내 블로그의 포스팅을 잘 수집하고 있는지,검색에 잘 노출이 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 이다.
국내 인터넷 검색에서 네이버의 시장 위치를 고려하면 웹마스터 도구의 사용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
우선 웹마스터도구(webmaster)를 신청할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한다.
http://webmastertool.naver.com/
네이버 계정이 없는 사람은 없을 테니 ,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아래 화면에서 사이트 추가를 클릭한다.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다.
아래 붉은색의 부분을 복사한다.
티스토리의 HTML/CSS 편집 메뉴로 이동한다.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밑에 복사한 태그를 붙인 후 저장한다.
.그 후 위의 화면에서 저장버튼을 클릭한다.
완료가 되면 아래와 같이 추가한 블로그 주소가 보일 것이다.
블로그 주소를 클릭해서 통계를 볼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네이버에서 내 블로그의 포스팅을 언제 가져갔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하루, 이틀 지난 후에 들어가면 네이버에서 글을 가져간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웹마스터 도구에서는 개별 페이지의 요청도 확인이 가능하므로, 이 기능도 추후에 사용해보도록 하자.
다음 포스팅에서는 네이버에서 내 블로그의 글을 가져가도록 설정해보자.
'기본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네이버, 구글, 다음, 빙, 바이두 검색 사이트 등록 (0) | 2016.06.05 |
---|---|
티스토리 구글 웹마스터도구 등록 (2) | 2016.06.05 |
티스토리 네이버,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 하기 (3) | 2016.06.05 |
티스토리 사이드바 구성 (0) | 2016.06.05 |
티스토리 블로그 환경 설정 (76) | 2016.06.05 |
티스토리 네이버,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 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검색엔진에 최적화하는 작업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을 할 것이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검색엔진에 잘 노출시키기 위해 하는 작업이다.
우선 아래 이미지를 보자. 재무회계는 블로그명이고, 그 뒤에 :: 다음에 포스팅 제목이 나오고 있다.
아래와 같은 구조는 포스팅 제목이 먼저 나오는 것보다 검색 순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스팅명 :: 블로그명으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메뉴 중 html/css 편집 메뉴로 이동한다.
_page_title로 검색하면 아래 붉은색 네모와 같은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여기서 [--##_title_##--] :: [--##_page_title_##--]로 되어 있는 부분을
[--##_page_title_##--] :: [--##_title_##--] 로 변경해준다.
* 위의 내용에서 --는 제외하고 입력한다.
저장 버튼을 누른 후 포스팅을 새로고침하면 아래와 같이 포스팅 제목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본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구글 웹마스터도구 등록 (2) | 2016.06.05 |
---|---|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 (2) | 2016.06.05 |
티스토리 사이드바 구성 (0) | 2016.06.05 |
티스토리 블로그 환경 설정 (76) | 2016.06.05 |
티스토리 초대장 받고 블로그 시작하기 (4) | 2016.06.05 |
티스토리 반응형 스킨 FastBoot 적용하기
요즘들어 티스토리 도메인을 가진 블로그 중에 아래와 같은 형태의 디자인을 가진 블로그가 많이 보일 것이다. 기존 티스토리의 디자인과는 확연히 다른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이런 스킨을 반응형 스킨이라고 부른다.
아래와 같이 카테고리 목록을 갤러리 형태로도 보여줄 수 있다.
반응형 스킨은 모바일, 태블릿, PC 가리지 않고 블로그를 기기에 최적화시켜 출력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C에서 보는 화면이나, 스마트폰에서 보는 화면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창크기의 변화에 따라 텍스트와 사진 등의 크기가 최적의 비율로 보여지게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응형 스킨인 FastBoot의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설치하기
http://blog.readiz.com/214 로 이동하여 FastBoot v1.6.1.zip을 다운 받는다.
다운로드 위치 밑에 라이센스에 대해 표시되어 있으니, 꼭 읽어 보기 바란다.
FastBoot v1.6.1.zip을 다운받도록 하자. 1.6으로 설치할 경우 추가적인 작업을 해주어야 하므로, 꼭 1.6.1을 다운 받도록 한다.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이 보인다.
티스토리 스킨 메뉴로 이동하여 스킨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위의 파일들을 등록한다.
붉은색의 파일 먼저 올리고, images 폴더의 파일을 다음에 올린다.
스킨명을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저장이 되면 아래와 같이 보관함에 보일 것이다. 이 때 주의 사항이 있다.
.현재 사용중인 스킨을 꼭 저장시켜두어야 한다. 그리고 html/css 메뉴에 있는 구글 아날리스트 소스, 애드센스 소스, 네이버 신디케이션 소스 등이 있다면 그 부분을 복사해 놓는다.
복사를 해두었으면 반응형스킨을 적용한다.
다음으로 화면 설정 메뉴에서 선택화면을 목록만을 선택 후 저장한다.
모바일웹 스킨 메뉴로 이동한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어떤 기기에서든 동일한 화면을 보여주는 반응형 스킨이기 때문에 모바일웹 스킨을 OFF로 해놓는다. 기존 스킨과 같은 모바일웹을 보여주고 싶다면 ON으로 해놓는다.
이제 반응형 스킨의 설치 및 설정이 완료되었다.
위에 복사해 놓은 기존 스킨의 html/css를 참조해서 애드센스 소스, 구글 아날리스트, 네이버 신디케이션 소스 등을 반응형 웹스킨의 html/css에 복사해 놓으면 모든 작업은 완료된다.
스마트폰에서도 꼭 확인을 해야 한다.
.'중급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지수 높이는 방법 (7) | 2016.06.05 |
---|---|
블로그 지수란 무엇인가? (Blog Search Index) (0) | 2016.06.05 |
티스토리 소스코드 하이라이팅 (2) | 2016.06.05 |
티스토리 최적화 - 공감 버튼 간격 조정하기 (6) | 2016.06.05 |
티스토리 최적화 - 2차 도메인 설정하기 (12) | 2016.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