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돈벌기 - 인터넷 부업 애드센스
집에서 쉬는 시간에 잠시 시간을 내서 할 수 있는 부업에 대해 알아보자.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블로그에 광고를 적용하여 수익을 버는 방법이다.
어떻게 돈을 벌 수 있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광고를 적용하면 된다.
블로그는 네이버 블로그도 가능하고, 티스토리 블로그도 가능하다. 물론 구글 블로그도 가능하다.
광고는 구글 광고인 애드센스도 가능하고, 네이버 광고인 애드포스트도 가능하다.
어떤 블로그를 선택할지, 어떤 광고를 선택할지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정말 돈을 벌 수 있나?
현재 이 블로그 말고, 다른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번 수익이다.
약 한 달 정도 운영하면서 벌어들인 수익이다.
당장 돈을 벌 수 있다는 것보다 더 매력적인 것은
블로그가 어느 정도 위치에 오르기 시작하면 그 다음부터는 트래픽이 꾸준히 발생해
큰 노력 없이도 꾸준히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번 식당이 잘되기 시작하면 큰 노력 없이도, 입소문을 타고, 고객이 꾸준히 유입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섹션의 성공 사례를 보면 '정말 돈을 벌 수 있나?'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블로그 운영이 뭔데? 어려운 건가?
뭔가 특별한 기술이 있어, 저 정도의 블로그 수익이 발생한 것은 아니다.
블로그를 하나 개설해서, 블로그에 광고만 적용하면 된다.
블로그에 광고를 적용하는 것은 잘 모를 수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 중에 블로그 운영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블로그를 하나 만들어 글을 올리는 것이 블로그 운영이다.
어렵지도 않고, 오프라인 알바보다 시간을 많이 투자하지 않아도 된다. 힘들지도 않다.
되려 필자는 블로그를 운영하다가 재미를 느껴 블로그 운영이 취미가 되어 버렸다.
내가 알고 있는 사실을 차분히 정리하면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이 너무 큰 즐거움이 되어버렸다.
성공 사례
전세계에서 200만이 넘는 게시자(블로거 포함)들이 애드센스를 적용하여 수익을 얻고 있다.
국내에도 수천명의 블로거들이 애드센스를 적용해 수익을 얻고 있다.
연금 부럽지 않게 수익을 받고 있다.
.애드센스로 수익을 얻은 블로거들의 사례를 알아보자.
1. 국내 성공 사례
하루에 200달러 정도 버는 블로거
월600~800달러 버는 블로거
2. 해외 성공 사례
얼마나 시간을 투자해야 하나?
초기 블로그를 꾸미는데, 몇 시간만 투자하면 된다.
빠르면 1시간에도 블로그를 만들고, 디자인을 꾸밀 수 있다.
블로그에 포스팅이 어느 정도 생기면 광고를 적용하는 것도 1시간이면 된다.
블로그 꾸미는데, 몇 시간 투자 하는 것을 제외하면, 포스팅(블로그 글)하는 시간만 투자하면 된다.
이 것도 블로그를 꾸미는 것과 마찬가지로 글 쓰는게 빠른 사람은 10여분 만에 글 하나씩 올릴 수 있다.
그냥 내가 편한 시간에 포스팅 올리고 싶을 때 올리면 된다.
이 번 포스팅에서는 블로그로 돈을 버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블로그로 돈 버는 방법에 관심이 생겼다면, 이 블로그의 다른 포스팅도 읽어 보기 바란다.
이 블로그에서는 블로그로 돈 버는 방법에 대해서 계속 포스팅을 하고 있다.
어떻게 시작하는지부터 어떻게 해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꾸준히 포스팅을 하고 있으므로,
포스팅을 읽고, 자신의 블로그에 적절히 적용해서 최대의 수익을 올려보기 바란다.
'기본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가입하기(Adsense regist) (4) | 2016.06.05 |
---|---|
티스토리 공개, 비공개, 보호, 발행의 차이 (0) | 2016.06.05 |
티스토리 네이버, 구글, 다음, 빙, 바이두 검색 사이트 등록 (0) | 2016.06.05 |
티스토리 구글 웹마스터도구 등록 (2) | 2016.06.05 |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 (2) | 2016.06.05 |
티스토리 소스코드 하이라이팅
티스토리에 소스코드 하이라이팅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일반적인 생활, 사진, 요리, 육아 등의 개발 소스와 관련이 없는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소스코드 하이라이팅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블로그에 html, JavaScript, java, c++ 등과 같은 개발 소스를 적을 필요가 있을 경우 좀 더 시각적으로 보기 좋고, 입력하기 편하게 할 필요성이 생긴다.
SyntaxHighlighter는 소스코드를 시각적으로 보기 좋고, 입력하기 편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yntaxHighlighter를 티스토리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ActionScript3, Bash/shell, ColdFusion, C#, C++, CSS, Delphi, Diff, Erlang, Groovy, JavaScript,
위의 다운로드 링크로 이동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푼다.
파일 업로드
압축을 풀어서 아래 3개의 파일을 블로그에 업로드 한다.
scripts 폴더의 shCore.js
scripts 폴더의 shBrushJScript.js
styles 폴더의 shCoreRDark.css
(필자는 다른 파일도 업로드 했지만, 위의 3개 파일만 업로드 하도록 하자. )
script 폴더에는 개발 언어별로 js 파일들이 있고,
styles 폴더에는 개발 소스를 어떤 형식으로 보여 줄지를 정의한 css 파일이 들어가 있다.
만약 개발 소스가 자바스크립트가 아니라면 shBrushJScript.js 파일 대신에 자신이 사용하는 개발언어에 해당하는 js 파일을 업로드하면 된다.
스타일은 우선 shCoreRDark.css 이 파일을 올리도록 하자.
파일이 업로드 되었다면, HTML/CSS 편집을 하자.
</body> 태그 바로 위에 아래 내용을 추가하자.
포스팅을 해보자.
환결설정은 모두 끝났다. 이제 포스팅을 해보자.
티스토리 블로그의 글쓰기에서 개발 언어가 들어가는 부분을 작성하자.
글쓰기에서 HTML에 체크한다.
HTML 모드에서 아래 내용을 추가하자.
function testSyntaxHighlighter() { return "Test Complete!"; }
저장을 하고 포스팅을 보면 아래와 같이 보이게 된다.
pre 태그사이에 개발소스를 넣으면 된다.
이제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다.
위에서 우리는 shCoreRDark.css 파일을 업로드하고, 이 파일을 사용했다.
이 파일을 사용했을 때 위의 이미지에서 처럼 검은색 배경에 파란색과 연두색으로 소스가 표시된다.
하얀 배경을 사용하고 싶다면, shCoreDefault.css 파일을 사용하면 된다.
styles 폴더에 다른 css 파일도 확인해보고, 자신의 블로그 디자인에 가장 잘 맞는 css파일을 선택하도록 하자.
.'중급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지수 높이는 방법 (7) | 2016.06.05 |
---|---|
블로그 지수란 무엇인가? (Blog Search Index) (0) | 2016.06.05 |
티스토리 최적화 - 공감 버튼 간격 조정하기 (6) | 2016.06.05 |
티스토리 최적화 - 2차 도메인 설정하기 (12) | 2016.06.05 |
티스토리 반응형 스킨 FastBoot 적용하기 (0) | 2016.06.05 |
티스토리 최적화 - 공감 버튼 간격 조정하기
발행글이라고 한다면 보통 포스팅 마지막에 공감 버튼이 위치하고, 그 밑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기 또는 광고가 위치하게 된다.
SNS 버튼을 사용한다면 공감버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기 사이에 SNS 버튼도 위치하게 된다.
포스팅의 마지막과 하단 광고 또는 카테고리 다른 글 더보기의 간격이 넓어서, 방문자들이 못 보는거 같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한번쯤은 고민해봤을 것이다.
방문자가 포스팅 하단에 있는 광고 또는 카테고리 다른 글 더보기도 봤으면 하는데, 포스팅과의 거리가 멀어 방문자들이 보지 못한다는 생각이 한 번쯤 들었을 것이다.
공감 버튼 해결 방법
포스팅과 공감버튼과의 간격, 공감버튼과 다음 컨텐츠와의 간격을 조정해보자.
위의 그림을 보자.
좌측이 간격 조정 전이고, 우측이 간격 조정 후다.
간격 조정 후 공감 버튼과 포스팅과의 간격이 좁아졌다.
간격이 좁아지면서 원하는 대로 방문자가 광고 또는 카테고리를 볼 확률이 높아졌다.
수정 방법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HTML/CSS 편집 메뉴로 이동하자.
위의 붉은색 소스를 <header></header>사이에 추가하면 된다.
위의 화면처럼 소스 코드 하이라이팅을 적용하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기 바란다.
저장 후 포스팅을 다시 보면 공감 버튼의 간격이 좁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중급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지수 높이는 방법 (7) | 2016.06.05 |
---|---|
블로그 지수란 무엇인가? (Blog Search Index) (0) | 2016.06.05 |
티스토리 소스코드 하이라이팅 (2) | 2016.06.05 |
티스토리 최적화 - 2차 도메인 설정하기 (12) | 2016.06.05 |
티스토리 반응형 스킨 FastBoot 적용하기 (0) | 2016.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