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검색 누락 확인 방법

Posted by Breeze24
2018. 6. 2. 22:58 기본 강의

포스트 검색 누락 확인 방법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검색 누락이 심심치 않게 발생하게 된다. 


블로그 운영자는 꾸준한 검색 유입을 위해 주기적으로 검색 누락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데, 

블로그 운영자가 검색사이트에서 이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여간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 아니다. 


블로그유틸24 사이트에서는 블로그 검색 누락 확인 여부를 한 번에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네이버 뿐만이 아니라, 다음에서도 검색 누락이된 포스트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블로그 검색 누락


블로그유틸24에서 포스트 검색 누락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사용 방법


1. 블로그유틸24 사이트로 이동한다. 



2. 검색 조건을 설정한다.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검색 누락을 확인할 검색 엔진을 선택한다. 디폴트는 네이버이다. 
   포스트 제목 가져오는 방법은 RSS에서 가져오는 방법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포스트 검색 누락

 포스트 제목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면, 직접 입력을 선택해서, 포스트 제목들을 입력하면 된다. 

 (티스토리 블로그라면 백업파일을 이용해 한 번에 포스트 제목을 가져올 수 있다. 바로가기)


 별도로 목록이 없다면, RSS에서 가져오기를 선택하면 되나, 

 RSS에서 가져오기는 블로그 설정에 따라 최근에 등록한 포스트 중 최대 50여개 정도만 가져오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도움말을 참조하면 된다.(RSS 설정 확인 방법 도움말)


 RSS에서 가져오기를 선택했다면, RSS 주소를 필수로 입력해야 한다.

 RSS 주소는 블로그 종류마다 다르므로, RSS 주소 도움말을 참조하기 바란다.(RSS 주소 도움말)


3. 검색 누락 포스트 확인

 조회가 완료되면, 맨 위의 그림처럼 누락된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된다. 

 누락된 포스트의 제목을 클릭하면  검색사이트로 이동하여, 정말 검색 누락이 맞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넷 익스플로러 설정 방법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블로그 검색 누락 확인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정이 필요하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도구의 인터넷 옵션으로 이동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설정


보안탭의 사용자 지정 수준을 클릭한다. 


블로그 검색 누락


설정의 기타 항목에서 도메인 간의 데이터 원본 액세스의 항목을 사용으로 체크한다. 

블로그 검색 누락 설정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은 완료된다.

이제 블로그 검색 누락 확인 서비스를 사용하면 된다. 


크롬 설정 방법

블로그 검색 누락

크롬 바로가기를 생성한다. 기존 바로가기는 그대로 두고 블로그유틸24 전용 바로가기를 만드는 것을 권장한다. 


바탕화면에 있는 크롬 바로가기를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한다.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여진다. 


검색 누락 해결 방법


우선 기존 내용은 아래와 같을 것이다. 설치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올 수 있다. 

"C:\Program Files (x86)\Google\Chrome\Application\chrome.exe"


여기서 아래와 같이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하면 된다. 

"C:\Program Files (x86)\Google\Chrome\Application\chrome.exe" --disable-web-security --user-data-dir="C:\chrome"

그리고 크롬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 것이다. 지원되지 않는 명령줄 플래그....

이 화면에서 BLOGUTIL24.COM으로 이동하면 정상적으로 검색 누락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유사 문서 조회

다음부터는 해당 바로가기를 이용하여 블로그유틸24에 접속하면 된다. 

여행 일정 쉽게 만드는 방법(여행계획표 사이트, 여행일정표 어플)

Posted by Breeze24
2017. 5. 2. 10:40 블로그 유틸

블로그유틸24의 여행계획 만들기를 이용하면 여행계획을 만드는데 5분도 걸리지 않는다. 

여행지가 지도에 한 눈에 볼 수 있게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그 내용을 쉽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쉽게 인쇄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이 가능하다. 

만들어진 여행계획은 다른 사람과도 여행계획 주소를 공유하여 언제든지 쉽게 수정할 수 있다. 


여행 계획 만들기


이제 더 이상 포털사이트에서 여행계획을 검색해서 엑셀로 여행 계획을 만들고, 지도에 위치를 표시해가며 동선이 맞는지 확인하느라 불필요하게 시간을 소모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그 여행계획을 여행 멤버들과 공유하기 위해 이메일로 보내고, 인쇄를 할 필요도 없다. 


그럼 어떻게 여행계획을 쉽게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자. 


여행 일정표 만들기

여행 일정표 메뉴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처음에는 선택여행지에 아무 내용도 표시되지 않을 것이고, 지도에도 여행지가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그 내용을 검색해서 일정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여행지가 쉽게 추가된다. 


여행계획표


화면은 크게 여행지 검색 영역선택 여행지 영역, 지도 표시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

여행지 검색 영역에서는 지역별, 여행지 구분별 또는 여행지명으로 검색을 할 수 있다. 

여행지명으로 검색시에는 지역과 상관없이 검색을 할 수 있다. 

여행지명을 모른다면 지역으로 검색하면 되고, 여행지명을 안다면 여행지로 검색을 하면 쉽게 여행지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내용에서 제목을 클릭하면 상세한 여행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여행일정표

여행지 검색 영역에서 일정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 여행지 영역에 목록에 추가가 된다.

그리고 선택 여행지에 추가된 여행지는 좌표가 있는 경우 지도 표시 영역에 자동으로 추가된다. 


즉, 여행지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여행지 목록에도 추가되고, 지도에도 표시가 되게 된다. 


여행 계획 만들기


여행지 검색시에는 맛집, 관광지, 행사/공연/축제, 여행코스, 레포츠, 쇼핑, 숙박, 맛집으로 검색이 가능하다. 

여행 일정 만들기

이제 선택 여행지 영역에 대해 알아보자. 

선택된 여행지는 달력 아이콘을 클릭하여 여행 일정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3번의 여행지 순서 변경 아이콘을 클릭하여 여행지 순서를 변경할 수 도 있다. 그리고 4번의 메모를 클릭하면 예상비용과 기타 메모를 간략하게 적을 수 있다. 위의 내용들은 여행 일정표에 표시가 되므로, 여행 일정표를 좀 더 유용하게 작성할 수 있다. 메모는 선택사항이므로 꼭 입력을 하지 않아도 된다. 

.

만약 여행지 검색시에 추가하려는 여행지가 검색이 되지 않는다면 2번의 기타 여행지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여행지를 추가할 수 있다.  

여행 계획 어플

이렇게 작성후에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여행일정 만드는 것은 완료가 된다. 

저장을 할 때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그 비밀번호를 분실하면 추후에 여행일정을 수정할 수 없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작성된 여행일정은 계속 수정이 가능하다. 


여행 계획 요약 내용 확인하고, 공유하는 방법

작성된 여행계획은 인쇄도 가능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도 가능하다. 

여행 상세 화면으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행 일정 어플


3번 영역에는 전체 여행 기간, 여행 경로, 예상 비용이 여행 계획에 표시되고, 바로 아래에는 여행지 목록이 간략하게 보여진다. 여행지의 이미지를 클릭하거나 여행 정보 더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여행지의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여행 상세 내용 밑에는 지도에 여행지가 모두 표시되므로 여행 일정을 한 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이 여행 일정을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내용을 인쇄할 수도 있고, 날씨 버튼을 클릭하면 일자별, 지역별 날씨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여행 동선을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1번의 바로가기 주소를 복사하여 다른 사람과 여행 계획을 공유할 수 있고, 비밀번호를 안다면 수정도 가능하다. 스마트폰으로 접속시에는 카카오톡으로 바로 가기 주소를 쉽게 전달할 수도 있다. 


여행 계획을 만드는데, 더 이상 불필요하게 시간을 소모할 필요 없이, 블로그유틸24의 여행계획 만들기를 이용하여 더 일목요연하고, 더 쉽게 여행 계획을 만들어 보자. 


참고로 블로그유틸24의 여행계획 만들기는 데스크탑에서도 스마트폰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여행 계획 만들기 바로가기

검색 엔진의 ROBOTS.txt 파일 접근 제한 방법

Posted by Breeze24
2016. 10. 16. 13:10 중급 강의

블로그 또는 사이트를 유지하고 있다면 ROBOTS 파일에 대해 알아야 한다. 

구글, 다음, 네이버, 빙 같은 검색엔진들은 검색엔진 봇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각 사이트들의 페이지들을 수집해간다. 

검색엔진들은 이 수집된 페이지들을 가지고 검색 결과로 보여줄 수가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자신의 컨텐츠가 검색엔진에 잘 보여 줄수 있도록 또는 보안 요인으로 인해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검색엔진의 명칭과 어떻게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검색 엔진 접근 제한 ROBOTS.TXT

모든 검색 엔진의 접근을 제한하고 싶으면 ROBOTS.txt 파일을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 

User-agent : *
Disallow : /


그러나 모든 검색 엔진이 아니라 특정 검색 엔진만 접근을 제한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할까?

ROBOTS.TXT

위와 같이 하게 되면 BngBot을 제외한 모든 검색 엔진을 제한하게 된다. 

오직 BingBot만 컨텐츠를 가져갈 수 있다. 

.

그럼 BingBot이라는 것은 뭘까?

검색 엔진들은 고유한 이름이 있다. BingBot은 빙의 검색 엔진 이름이다. 


네이버 : Yetibot Naverbot

다음 : Daumoa

구글 : Googlebot

야후 : Yahoo! Slurp

마이크로소프트 : Msnbot

빙 : Bingbot


위의 검색 엔진을 참고해서 ROBOTS.TXT를 참고하면 된다. 

페이지별 검색 엔진 제한 방법

마지막으로 각 페이지 또는 컨텐츠에 검색 엔진의 접근을 막는 방법이 있을까?

아래와 같은 소스를 각 페이지에 삽입하면 검색엔진은 해당 페이지를 가지고 가지 않는다. 


NOINDEX 사용법

블로그에서도 위의 메타 태그를 이용하면 포스트의 검색 엔진 접근을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다. 

.